간호 5

심정지 환자 응급 간호 및 가이드라인 정리 (가슴압박, 인공호흡, 약물투여, 소생술과정, PCAS)

1. ACLS 과정에서 해야할 사항과 근거 인공 순환 및 인공 호흡(가슴 압박, 인공 호흡) 순환 회복(ROSC)을 위한 치료(제세동, 약물투여) Put-it-together: algorithms for cardiac arrest 심정지 후 증후군(post-cardiac arrest syndrome: PCAS)의 치료 1) 가슴압박에 대한 권장사항 - The center of the chest - At least 5cm - At least 100/min - Complete recoil - Minimize interruption 2) 가슴 압박 이완기 - 불완전한 가슴 이완 -> 흉강 내압의 상승 -> 정맥 혈류의 환류 감소 -> 심박출량 감소 3) 가슴 압박 중단의 결과 - 10초 이상 중단하면 소생률 ..

간호 2022.09.02

Patient Monitor, ETCO2, TcCO2, A-line, C-line

1. Patient Monitor 적용 1) 적응증 : 의식변화, abnormal V/S, 호흡곤란, 심혈관계 질환, seizure, bleeding 등 Monitoring 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환자에게 적용함 전원버튼을 눌러 Monitor를 켬 환자에게 EKG, SpO2, NIBP 등 cable을 연결함 환자별 High limit, Low limit 등 설정값을 지정함 start를 누른 후 초기 결과 수치를 간호기록에 charting 함 2. ETCO2 monitoring 1) ETCO2 : 호기말 이산화탄소 농도, 숨을 내쉴 때 세포에서 생성된 CO2는 폐를 통해 배출되며 배출되는 CO2 를 잡아내어 그래프와 수치로 표시해 주는 것 2) 적응증 : 급성 기도 폐쇄나 무호흡의 위험이 있을 때 기관 삽..

간호 2022.08.25

응급실 간호사라면 꼭! 알아야 하는 EKG rhythm(Asystole, PEA, VF, Pulseless VT, PSVT, A.fib, Ventricular Tachycardia)과 응급 처치 방법, check point

1. Asystole(무수축) -> 지속적인 가슴압박(chest compression) + epinephrine IV or IO (atropine 사용안함) 2. Pulseless electrical activity : PEA (무맥성 전기활동) -> 지속적인 가슴압박(chest compression) + epinephrine IV or IO (atropine 사용안함) PEA는 EKG monitor만 봤을 때는 언뜻 pulse가 있어보이지만 실제로는 pulse가 촉지되지 않는 경우, 보통 aystole에서 PEA, 또는 PEA에서 asystole로 가는 경우가 많아 중증 환자들은 무조건 pulse가 촉지되는지 확인하는게 중요함!! 3. Ventricular fibrilatioin : VF (심실세동) ..

간호 2022.08.24

Mechanical Ventilation(기계적 환기) part 2. (알람의 원인과 해결방법 , A~T까지)

★ 알람 해결 시 일반적인 원칙은 'alarm silence'를 먼저 누르지 말고 어떤 경고 인지를 확인하고 교정해야 한다' 는 것!! Alarm 원인 필요조치 및 임상적 고려 Air supply failed(즉시 중재) supply pressure가 1.9bar(190kpa/28psi) 이하 or input flow 40L/min 이하일 때 check air supply Apnea(즉각 중재 필요) 설정한 anpea time(alarm window에서 설정하며 무호흡 전 마지막 호흡 cycle이 포함된 시간)을 초과한 후에도 호흡이 시작도지 않을 때 apnea backup ventilation이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 Apnea ventilation 설정한 anpea time 동안 breath deliv..

간호 2022.08.23

Mechanical Ventilation(기계적 환기) part 1. (원리, 목적, 모드, 세팅값, 용어정리)

1. Ventilator 원리 및 목적 1) 호흡의 역학 정상 호흡 인공 호흡 Negative pressure ventilation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흉곽용량증가 -> 흉곽 내압 감소 음의 흉곽 내압 압력 차는 폐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 호흡 전 과정 동안 흉곽 내압이 양압 유지 공기의 흐름은 혈류가 풍부한 폐의 기저부로 향함 공기의 흐름은 저항이 가장 적은 경로를 통해 흐름 공기는 혈류가 없거나 적은 폐의 영역으로 분포 2) 정상 호흡 vs 양압 호흡 정상 호흡 양압 호흡 흡기 주로 횡격막 수축에 의한 흉곽 내 음압 형성으로 대기압과의 차이만큼 흡입이 이루어지는 active motion 기계로부터 설정된 양압이 폐포로 전달 호기 주로 폐포의 탄력성(e..

간호 2022.08.22